캠페인위키아
탐색
대문
모든 문서
커뮤니티
Interactive Maps
블로그 최근 글
인기 문서
조회수 높은 문서
노무현
18세기
10·26 사건
김대중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원기
한승수
김한길
이화영
김덕규
오탄
손주항
토막글 분류가 잘못된 문서
백선엽
장세동
이시영
김길수
임병직
허경영
김우식 (정치인)
커뮤니티
최근 블로그 글
FANDOM
게임
영화
TV
위키
위키 둘러보기
커뮤니티 중심
새 위키 만들기
아직 계정이 없으신가요?
가입하기
로그인
새 위키 만들기
로그인
아직 계정이 없으신가요?
가입하기
로그인
캠페인위키아
탐색
대문
모든 문서
커뮤니티
Interactive Maps
블로그 최근 글
인기 문서
조회수 높은 문서
노무현
18세기
10·26 사건
김대중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원기
한승수
김한길
이화영
김덕규
오탄
손주항
토막글 분류가 잘못된 문서
백선엽
장세동
이시영
김길수
임병직
허경영
김우식 (정치인)
커뮤니티
최근 블로그 글
로그인
아직 계정이 없으신가요?
가입하기
로그인
탐색
Current
로그인
가입하기
캠페인위키아
1,648
pages
탐색
대문
모든 문서
커뮤니티
Interactive Maps
블로그 최근 글
인기 문서
조회수 높은 문서
노무현
18세기
10·26 사건
김대중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원기
한승수
김한길
이화영
김덕규
오탄
손주항
토막글 분류가 잘못된 문서
백선엽
장세동
이시영
김길수
임병직
허경영
김우식 (정치인)
커뮤니티
최근 블로그 글
신성모 문서 원본 보기
돌아가기
| ←
신성모
Sign in to edit
역사
토론 (0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Emailconfirmed Users, 위키아 헬퍼, Wiki Specialists.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
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신성모'''(申性模,[[1891년]] [[10월 20일]] [[의령군|의령]] -[[1960년]] [[5월 29일]]<ref>동아일보 1960년 5월 30일 3면 ([[한국언론재단]] 웹사이트에서 검색가능)</ref>)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고령 신씨|고령]](高靈). 호는 소창(小滄). 신재록(申載祿)의 6대 독자이며, 어머니는 김해 김씨(金海金氏)이다. ==생애== [[1910년]] [[고려대학교|보성법률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해 경술국치를 당하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 [[신채호]](申采浩)와 고향선배인 [[안희제]](安熙濟)의 지도 아래 항일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1913년]] [[상하이]]로 가서 오송상선학교(吳淞商船學校) 항해과를 수료, 한때 중국군 해군소위에 임명되어 중국해군본부에서 근무하였다. [[1919년]] [[김복희]](金福喜)와 결혼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서 일하였다. 같은 해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에게 조선에 대한 미국의 위임통치 청원을 서면 제출한 데 분개하여, [[박용만]](朴容萬)·[[신숙]](申肅)과 함께 이승만 성토문을 발송하였다. [[192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비밀 연락처이던 백산상회에의 독립 자금 전달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붙잡혀 본국으로 압송되었다. [[1925년]] 석방되자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의 해양대학에서 수학, 1등 항해사자격을 얻었다. [[1930년]]부터 런던과 인도를 왕래하는 정기화객선의 선장이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한 인도 상선 회사의 고문으로 취임하여 봄베이에서 체류하다 [[1948년]] [[11월]]에야 환국하였다. 귀국 직후 [[대한청년단]] 단장과 교통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1949년]] 제2대 내무부장관을 거쳐 제2대 국방부장관을 지냈다. 국방부 장관 재직 당시인 [[1949년]] [[7월 17일]] [[대한청년단]] 훈련장에서 "국군은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을 기다리고 있으며, 명령만 있으면 하루 안에 평양이나 원산을 완전히 점령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그 발언이 문제가 되자 자신의 발언이 오해되었다고 해명했지만, 그 해 9월초에도 "때 오기만 기다릴 뿐이고 밀고 갈 준비는 이미 됐다"고 주장했다. <ref>[[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년) 25쪽.</ref> [[1950년]] [[6월 27일]] 새벽 4시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방부장관 신성모는 전황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발언했다. <ref> 전쟁기념사업회, 《한국전쟁사 3권》(행림출판, 1992) 39쪽. </ref> [[1951년]]에 발생한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을 둘러싸고 당시 계엄사령관이던 [[김종원]](金宗元)과 함께 사건을 합리화시키고 있다는 국회의 비난을 받았고, 그런 와중에 세칭 국민방위군사건이 발생하여 국회에서 해임되었다. [[1956년]] [[11월 28일]] - [[4·19 혁명]] 직후, 제8대 해양대학장을 역임하였다. <ref> 김종길,〈해양대학 신성모 학장〉(《해양한국》(2000.7.) 150~151쪽.)</ref> [[4·19 혁명]] 직후 병을 얻어, 이해 5월에 죽었다.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선영에 묻혔다. ==평가== 국내에 전혀 기반이 없던 신성모가 대한청년단장, 내무부장관, 국방부장관에 국무총리 서리로까지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눈물이었다. 신성모는 [[이승만]]의 지시를 들을 때면 눈물을 흘리고, 전방을 순시하면서 [[이승만]]에 대해 이야기할 때면 또 눈물을 흘려 낙루장관(落淚長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ref> 한홍구, 《대한민국사02: 이라랑 김산에서 월남 김상사까지》(한겨레신문사, 2003)183~184쪽.</ref> 눈물과 더불어 신성모의 강점은 영어였다. [[이승만]]은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을 우대했다.<ref>강준만,《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인물과 사상사, 2004) 57쪽. </ref> ===부록=== ==참고자료== * [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7HIL_A1891_1_0006379&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주석 === <references/> {{전임후임| |전임자 = [[윤치영]] |후임자 = [[김효석 (내무부장관)|김효석]] |대수 = 2 |직책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내무부장관]] |임기 = [[1948년]] [[12월]] - [[1949년]] [[3월]] }} {{전임후임| |전임자 = [[이범석 (1900년)|이범석]] |후임자 = [[이기붕]] |대수 = 2 |직책 = [[대한민국의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임기 = [[1949년]] [[3월 20일]] - [[1951년]] [[5월 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이범석 (1900년)|이범석]] |후임자 = [[장면]] |직책 = [[대한민국의 총리|국무총리 서리]] |임기 = [[1950년]] [[4월 21일]] - [[1950년]] [[11월 22일]] }} [[분류:대한민국의 총리]] [[분류:대한민국 국방부장관]] [[분류:1891년 태어남]] [[분류:1960년 죽음]] [[분류:경상남도 출신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전임후임
(
원본 보기
)
신성모
문서로 돌아갑니다.
Follow on IG
TikTok
Join Fa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