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위키아
탐색
대문
모든 문서
커뮤니티
Interactive Maps
블로그 최근 글
인기 문서
조회수 높은 문서
18세기
기쁨조
10·26 사건
19세기
노무현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원기
한승수
김한길
이화영
김덕규
오탄
손주항
토막글 분류가 잘못된 문서
백선엽
장세동
이시영
김길수
임병직
허경영
김우식 (정치인)
커뮤니티
최근 블로그 글
FANDOM
게임
영화
TV
위키
위키 둘러보기
커뮤니티 중심
새 위키 만들기
아직 계정이 없으신가요?
가입하기
로그인
로그인
가입하기
캠페인위키아
1,648
pages
탐색
대문
모든 문서
커뮤니티
Interactive Maps
블로그 최근 글
인기 문서
조회수 높은 문서
18세기
기쁨조
10·26 사건
19세기
노무현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원기
한승수
김한길
이화영
김덕규
오탄
손주항
토막글 분류가 잘못된 문서
백선엽
장세동
이시영
김길수
임병직
허경영
김우식 (정치인)
커뮤니티
최근 블로그 글
전태일 문서 원본 보기
돌아가기
| ←
전태일
Sign in to edit
역사
토론 (0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Emailconfirmed Users, 위키아 헬퍼, Wiki Specialists.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
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전태일'''(全泰壹, [[1948년]] [[8월 26일]] - [[1970년]] [[1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이다. ==유년시절과 평화시장에서의 삶== [[대구시]] 남산동의 가난한 노동자의 맏아들로 태어나 1954년 [[서울]]로 올라왔다.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고 각종 행상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불우한 유년을 보냈다. [[1965년]] 아버지에게 배운 재봉 기술로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의 피복점 보조로 취업해 14시간 노동을 하며 당시 차 한잔 값이던 50원을 일당으로 받았다. 이듬해 직장을 미싱사로 옮겨 재봉사로 일하며 어린 여공들이 적은 월급과 열악한 환경, 과중한 노동에 시달리는 것을 보며 노동운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특히 함께 일하던 한 여공이 가혹한 노동 환경으로 인한 직업병인 폐렴으로 강제 해고 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자신도 여공을 도왔다는 이유로 해고 된다. ==노동운동으로 뛰어들다== [[1968년]]. 우연히 노동자를 보호하는 법인 [[근로기준법]]의 존재를 알게 되어 해설서를 구입해 그 내용을 공부하면서 법에 규정되어 있는 최소한의 근로조건조차 지켜지지 않는 현실에 분개. 1969년 6월 평화시장 최초의 노동운동 조직인 [[바보회]]를 창립하여 평화시장 노동자들에게 근로기준법의 내용과 현재 근로조건의 부당성을 알리기 시작하고 설문을 통해 현재의 근로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이 일은 실패로 끝나고 더 이상 평화시장에서 일할 수 없게 된 전태일은 한동안 공사장에서 막노동을 하며 지냈다. [[1970년]] 9월 평화시장으로 돌아온 전태일은 재봉사보다 지위가 높은 재단사로 일하며 이전의 [[바보회]]를 발전시킨 [[삼동친목회]]를 조직한다. 그 뒤 다시 노동실태 조사 설문지를 돌려 126장의 설문지와 90명의 서명을 받아 노동청에 진정서를 제출한다. 이 내용이 [[경향신문]]에 실려 주목을 받자 전태일 등 삼동회 회원들은 본격적으로 임금, 노동 시간, 노동환경의 개선과 노동 조합 결성 등을 위해 사업주 대표들과 협의를 벌였으나, 일을 무마하려는 정부의 약속 위반으로 인해 번번히 무위로 돌아갔다. ==전태일의 죽음-"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말라!"== 이에따라 전태일과 삼동회 회원들은 11월 13일 근로기준법 화형식을 하기로 결의하고 플래카드 등을 준비해 평화시장 앞에서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그러나 경찰과 사업주의 방해로 플래카드를 빼앗기는 등 시위가 무위로 돌아갈때 전태일은 갑자기 온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불을 붙이고는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평화시장 앞을 달리다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말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쓰러져 숨을 거두었다. ==전태일 이후의 한국 노동운동== 그의 죽음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당시 고성장의 그늘에 가리워져 부당한 처우를 받아오던 노동자들을 자극해 이 후 수 천개의 노동 조합이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 그의 죽음은 한국 노동운동의 진정한 출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의 삶은 1983년 출판된 [[조영래]] 변호사의 《[[전태일 평전]]》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1990년대엔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으로도 만들어졌다. == 바깥 고리 == {{위키자료집|전태일의 공개장}} * [http://www.chuntaeil.org/ 전태일 기념 사업회] [[분류:1948년 태어남]] [[분류:1970년 죽음]] [[분류:대한민국 사람]] [[분류:자살한 사람]] [[분류: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분류:대구광역시 출신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위키자료집
(
원본 보기
)
전태일
문서로 돌아갑니다.
Follow on IG
TikTok
Join Fa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