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위키아
Advertisement

틀:준보호 제주 4·3 사건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김달삼남조선로동당세력이 주도가 되어 벌어진 무장항전과 그에 대한 대한민국국군의 강제진압을 가리키는 말이다. 4·3 사건은 남조선 단독정부 수립을 의미하는 5.10 총선을 방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가 한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2만5천~3만명의 무고한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이 중에는 무장대에 의해 희생된 사람도 포함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서북청년단 등의 극우단체와 군경 토벌대에 의한 희생자였다.

사건의 경과와 학살 피해자[]

  •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350명의 무장대가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함으로써 시작된 이 사건은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사실상 6년 6개월간 지속되면서 엄청난 유혈사태로 비화되었다. 무장대는 경찰과 극우 청년단체의 탄압에 대한 저항, 단독선거·단독정부 반대와 조국의 통일독립, 반미구국투쟁을 봉기의 기치로 내세웠다.[1]
  • 제주 4·3 사건은 30여 만 명의 도민이 연루된 가운데 2만5천~3만명의 학살 피해자를 냈다.[2] 희생자의 수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 만5천~2만이라는 주장에서부터 심지어 '8만명 희생설'까지 나오고 있다. 3만명이라는 숫자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이다. 당초 토벌대가 파악한 무장대 숫자는 최대 500명이다.[3] 전체 희생자 가운데 여성이 21.1%,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5.6%, 61세 이상의 노인이 6.2%를 차지하고 있다.[4]그 실례로 제주 4.3학살피해자의 증언중에는 극우청년들에게 어린이에 불과한 아들을 잃었다는 증언이 한겨레신문에 보도된 바 있다.

진상 규명 노력[]

제주 4.3학살피해자 가족과 시민단체에서 줄곧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요구하였으나 역대 정부는 이를 무시하였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1998년 11월 23일 김대중 대통령이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주 4·3은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많으니 진실을 밝혀 누명을 벗겨줘야 한다."는 발언이 있었고,[5] 1999년 12월 26일 국회에서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고, 2000년 1월 12일 제정 공포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에 착수하게 되었다. 조사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2003년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였다.

각주[]

  1.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2003) 162~168쪽.
  2.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2003) 383~384쪽.
  3. ^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 1948~1950 민주주의·민족주의 그리고 반공주의》(역사비평사, 1996), 175쪽.
  4. ^  김영주, 〈'4·3희생자' 21%가 여성〉,《대한매일》2001.6.2.
  5. ^  《한라일보》1998.11.24.

바깥고리[]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