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위키아
Advertisement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민군1950년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한 뒤 6월 30일까지 한강을 건너 남쪽으로 이동하지 아니한 것에 대한 논란이다.

1950년 6월 28일 새벽 조선인민군의 탱크가 서울 중심부에서 목격되었다. 그러나 조선인민군은 전세가 유리함에도 불구하고,6월 30일이 될 때까지 한강을 건너지 않았다. 이렇듯 서울에서 3일간 머물렀다는 사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기되었다.

가설[]

첫번째 : 제한전쟁설[]

북조선의 전쟁계획이 남한 전역을 점령하려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가설이 있다. 즉 조선인민군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만 점령함으로써 전쟁을 끝내려 했다는 것이다. 이를 '제한전쟁설'이라 부르기도 한다. [1] 같은 맥락에서 "서울에 진주한 북한군 제1군단은 대규모 도하작전을 수행할 도하장비조차 전혀 갖추고 있지 않았으며, 자신들의 목표가 통일정부 수립이었던 만큼 이들은 서울 진주 후 국회소집을 통해 통일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더 이상 남하하지 않고 서울에 체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의 신속한 남하로 이것이 불가능해지자 북한군은 결국 이승만 정권을 붕괴시키기 위한 추격전을 전개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된다. [2]

두번째 : 민중봉기설[]

하지만, 인민군이 서울에서 3일간 머무른 사실에 대해서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날 것을 기대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즉, 민중들이 공산주의 운동을 일으키면, 이를 기반으로 남조선을 '해방'시키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민중봉기기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수상인 박헌영라디오 방송을 통해, 산업을 마비시키기 위한 파업을 선동한 것이 그 상황증거로 본다.

무엇보다도 북조선에 비해 남한에서 조선공산당남로당공산주의 운동이 활발했던 점과 지주와 소작인간의 대립이 심했다는 점도 북조선 지도부가 공산주의 봉기가 민중들에 의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유상몰수, 유상분배라는 단점에도 불구, 토지개혁으로 계급갈등은 어느 정도 해소된 후였고, '남조선'의 공산주의 운동도 과격성으로 인해 사실상 몰락한 뒤여서 북조선 지도부가 기대한 민중봉기는 일어나지 않았다. [3]

세번째 : 스탈린 개입설/마오쩌둥 개입설[]

러시아 국방부의 군사연구소 연구원 이고르 파포프는 입증 문서는 없다는 걸 전제하면서도 "스탈린은 미국이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면 원자무기를 사용할지 모른다고 우려해서 김일성의 부산 돌진을 저지시켰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4]

또한 마오쩌둥이 "전쟁은 보급로와 퇴로를 준비해야 한다"며 급한 추격적을 하지 않도록 여러 번 경고했고 미군 개입과 이에 따른 중국군의 개입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5]

네번째 : 춘천 전투[]

최근 구 소련의 관련 문서가 공개되면서 북조선 인민군이 서울에서 3일간 지체할 수 밖에 없었던 새로운 이유가 제시되었다. [6] 소련 군사고문단이 작성한 남침 작전 계획서는 1사단, 3사단, 4 사단, 6사단105땅크여단으로 서울을 공략하고, 2사단7사단춘천홍천을 6월 25일 당일에 점령한 뒤, 6월 28일에 수원을 점령하여 한강 이북의 남한군을 포위하도록 되어 있었다. 실제로 6월 28일 당일 서부 전선에서 한국군의 가용 병력은 모두 한강 이북에 있었다.

그러나, 춘천 전투에서 북조선군은 한국군 6사단의 저항에 부딪혔다. 춘천지구의 한국군 6사단(사단장 김종오 대령) 7연대는 6월 22일부터 경계태세를 강화하며 동시에 전장병의 외출을 금지시켰다. 그 때문에 북한군 2만4천 명은 6월 25일 새벽 춘천을 기습공격했지만 40% 이상의 전력을 상실한 채 실패하고 말았다. 한국군 6사단은 3일간 북한군과 대치하며 춘천을 확보했으나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충주로 철수하면서 북한군은 애초 작전 계획보다 2일 뒤인 6월 27일 저녁 10시에야 겨우 춘천을 점령했다. 이 결과로, 한국군을 한강 이북에서 포위하겠다는 북조선군의 작전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고, 한국군은 급히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하여 6월 28일 이후 도강한 개별적으로 후퇴한 패잔병들과 낙오병들을 긁어모아 편제를 유지하고 있던 일부 부대와 합치는 식으로 방어선을 펼칠 수 있었고, 이때문에 3일간 한강을 건너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7]

주석[]

  1. 조선인민군은 전세가~:박태균, 《한국전쟁》 (책과함께, 2005년)
  2. 한국정치연구회, 《한국정치사》(백산서당, 1990년) 220~221쪽.
  3. 이덕일,이희근 지음, 《우리역사의 수수께끼》2권, (김영사, 1999년)
  4. 장행훈, 〈소, 미핵(美核)의식 '부산공격'저지:'6·25' 42주 … 러시아 군사연 파포프 연구원 특별인터뷰〉《동아일보》(1992.6.26.)
  5. 정일화, 〈40년만에 다시 풀어보는 6ㆍ25의 수수께끼:3〉[한국일보]1990-06-17 05면
  6. 코리아스코프, <한국전쟁의 전개과정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7. 김종오, 《변질되어가는 한국현대상의 실상 上》(종소리, 1989), 249쪽.; 김영호, 〈한국전쟁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전망〉,한국전쟁연구회 편 《탈냉전시대 한국전쟁의 재조명》(백산서당, 2000), 103쪽
Advertisement